-
무역의 발생과 발전과정에 따른 금융수요에 대응하는 추심방식, 신용장 방식, 보증업무 등 무역금융 상품의 종류를 이해하고
각 상품들의 특징과 장단점을 숙지하여 무역고객의 금융수요를 파악할 수 있음
-
Supply Chain Finance와 팩토링, 포페이팅 등 시장에서 중요성을 높여가는 매출채권 관련 상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
-
서비스와 중장기 프로젝트 계약에 수반되는 중·장기 무역금융 상품을 이해하고
그에 따른 신용위험의 파악과 경감 방안, 그리고 중요성과 시장을 넓혀가는 이슬람 무역금융의 기본구조 이해
-
무역거래에서 기본적인 환 위험의 종류와 발생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금융권의 위험 헤지 상품에 대한 이해
-
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무역환경에서 새로이 부각되고 있는 4차산업, 디지털화, 그리고 분산원장(distributed Ledger) 기술로 대변되는
블록체인 등의 변화들을 이해하고 그에 따라 향후 금융권의 무역금융 상품의 변화와 대응에 대한 준비과정
-
글로벌 은행의 사례 연구를 통한 트랜잭션 뱅킹 업무의 범위 및 관련 솔루션에 대한 이해 제고
-
상업은행으로서 트랜잭션 뱅킹 업무에 대한 개념을 숙지하여 해당 업무의 중요성의 이해와 함께
Cash management의 개념 및 관련 솔루션에 대한 이해와 적용 사례를 통한 영업 마인드 제고
-
또한 이과정을 통해 런던금융대학 (LIBF, London Institute of Banking & Finance)이 인증한 자격증
‘CITF(The Certificate in International Trade and Finance )자격증 취득과 함께 트랜잭션 뱅킹 업무를 위한 집합교육과정